카테고리 없음
마음에 와 닿는 말
호르텐시아
2006. 6. 6. 02:10
스밀라를 번역하신 분의 이글루스를 찾았다! 오 맙소사 오.
이건 마치 브라운관에서 보던 사람을 코앞에서 대했을 때와 유사한 기분.
"저는 이렇게 마음을 흔드는 일이 생기면 약간 집요할 정도로 오래 생각을 해서 어떻게 해서든 납득을 하고 맙니다. 그 납득의 결과가 합리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음 속에서는 불편한 감정을 가라앉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종국에는 지나친 칭찬과 비난은 근원적으로 내가 마음대로 조종할 수 없는 타인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계속 노력하는 일 뿐이라는 것 또한 알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도, 역시 마음을 뒤흔드는 일을 만나면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할 때까지 방황하지만요."
그분의 이글루스에 있었던 글이다. 마음에 와닿는 구석이 있어 옮겨 적어보았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는 걸 알기에 단지 노력하는 것 뿐이다. 누구도 무얼 어떻게 고치라고 일러주지 않기에, 눈과 귀를 바짝 세워 마음을 들여다보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노력하는 것 뿐이라고.
한 사람의 삶은 결국 그 사람이 인생에서 살면서 내리는 가치판단의 시계열의 총화- 1)라고 했던가. 결국 이런 일이 있었던 것도, 내가 자신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하지 않고 행동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을 제대로 일으켜 세우지 못하면- 앞으로의 자신에게나, 그런 자신과 만날/혹은 계속 곁에 있을 타인들에게나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똑바로 고개를 들고 살아가기 위한 자존감을 유지하는 것은, 언제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자존감에서 자신을 돌아볼 줄 아는 여유가 생기고, 더불어 자기반성도 가능하기에. 수치심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저의 에너지 상태이다-2). 수치심도 죄책감도 사람이기에 가질 수 있는 감정이지만- 마이너스적인 자기 예언을 통해, 정말로 그런 사람으로 변해 버린다면 진정 중요한 사실은 놓치는 게 아닐는지?
한편으로는 이 모든 기억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 거침없이 글을 쓰고 싶다고도 생각한다. 둘러싸고 있는 게 사라지자 한없이 작아진 자신을 다시 돌아보게 되면서, 좀더 많이 배우고 얼른 성숙해지고 싶다고도 생각한다. 하나로 정해진 도덕률에 얽매이고 싶지 않다. 늘 하던 대로 자신을 거리낌없이 비웃고, 일개 농담으로 만들어 버리고도 싶다.
어쨌든- 타인이 뭐라 말하고 있든간에, 나는 내 나름대로 계속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생각이다. 자신을 돌아보고, 분석해서 고칠 점을 상정하고, 고쳐나간다. 그렇다, 그게 늘 합리적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전혀 생각지도 못한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수많은 가치판단이 모여 하나의 시계열을 이루고, 그게 곧 내 삶의 궤적이라 말할 수 있다면 그것 또한 나름대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P.s 다소 아쉬운 점은- 일이 시작해서 진행될 동안 자기관찰일기 같은 거라도 썼더라면, 정서와 인지상태의 변화를 다양한 조망에서 분석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중요한 데이터감 하나를 놓친 셈이잖아(역시 변태). 굳이 그런 게 아니더라도- 이글루의 제일목표는 언제나 자기기록이니, 그동안 지껄인 글만 죽 읽어봐도 사고의 궤적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알 수 있어 좋다.
P.s.s 이글루스에는 본받고 싶은 굉장한 언니들이 많아요 //ㅅ// 아잉
1) 다치바나 다카시, '뇌를 단련하다- 도쿄대 강의 1'
2) 구본형, '낯선 곳에서의 아침'
이건 마치 브라운관에서 보던 사람을 코앞에서 대했을 때와 유사한 기분.
"저는 이렇게 마음을 흔드는 일이 생기면 약간 집요할 정도로 오래 생각을 해서 어떻게 해서든 납득을 하고 맙니다. 그 납득의 결과가 합리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음 속에서는 불편한 감정을 가라앉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종국에는 지나친 칭찬과 비난은 근원적으로 내가 마음대로 조종할 수 없는 타인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계속 노력하는 일 뿐이라는 것 또한 알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도, 역시 마음을 뒤흔드는 일을 만나면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할 때까지 방황하지만요."
그분의 이글루스에 있었던 글이다. 마음에 와닿는 구석이 있어 옮겨 적어보았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는 걸 알기에 단지 노력하는 것 뿐이다. 누구도 무얼 어떻게 고치라고 일러주지 않기에, 눈과 귀를 바짝 세워 마음을 들여다보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노력하는 것 뿐이라고.
한 사람의 삶은 결국 그 사람이 인생에서 살면서 내리는 가치판단의 시계열의 총화- 1)라고 했던가. 결국 이런 일이 있었던 것도, 내가 자신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하지 않고 행동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을 제대로 일으켜 세우지 못하면- 앞으로의 자신에게나, 그런 자신과 만날/혹은 계속 곁에 있을 타인들에게나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똑바로 고개를 들고 살아가기 위한 자존감을 유지하는 것은, 언제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자존감에서 자신을 돌아볼 줄 아는 여유가 생기고, 더불어 자기반성도 가능하기에. 수치심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저의 에너지 상태이다-2). 수치심도 죄책감도 사람이기에 가질 수 있는 감정이지만- 마이너스적인 자기 예언을 통해, 정말로 그런 사람으로 변해 버린다면 진정 중요한 사실은 놓치는 게 아닐는지?
한편으로는 이 모든 기억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 거침없이 글을 쓰고 싶다고도 생각한다. 둘러싸고 있는 게 사라지자 한없이 작아진 자신을 다시 돌아보게 되면서, 좀더 많이 배우고 얼른 성숙해지고 싶다고도 생각한다. 하나로 정해진 도덕률에 얽매이고 싶지 않다. 늘 하던 대로 자신을 거리낌없이 비웃고, 일개 농담으로 만들어 버리고도 싶다.
어쨌든- 타인이 뭐라 말하고 있든간에, 나는 내 나름대로 계속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생각이다. 자신을 돌아보고, 분석해서 고칠 점을 상정하고, 고쳐나간다. 그렇다, 그게 늘 합리적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전혀 생각지도 못한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수많은 가치판단이 모여 하나의 시계열을 이루고, 그게 곧 내 삶의 궤적이라 말할 수 있다면 그것 또한 나름대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P.s 다소 아쉬운 점은- 일이 시작해서 진행될 동안 자기관찰일기 같은 거라도 썼더라면, 정서와 인지상태의 변화를 다양한 조망에서 분석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중요한 데이터감 하나를 놓친 셈이잖아(역시 변태). 굳이 그런 게 아니더라도- 이글루의 제일목표는 언제나 자기기록이니, 그동안 지껄인 글만 죽 읽어봐도 사고의 궤적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알 수 있어 좋다.
P.s.s 이글루스에는 본받고 싶은 굉장한 언니들이 많아요 //ㅅ// 아잉
1) 다치바나 다카시, '뇌를 단련하다- 도쿄대 강의 1'
2) 구본형, '낯선 곳에서의 아침'